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네이버검색누락
- 동부산아울렛맛집
- 해외여행쉽게가자
- 합천중국집
- Condensing Unit
- HVAC
- 합천4대문파
- 코일
- 만덕맛집
- 사이다술
- 송풍기
- 댄켈리사이다
- 은행잎활용
- 애드센스광고삽입
- 은행잎쓰임
- 고유진동수
- 냉동기
- 외국사이다
- 열부하
- 적사부
- 공기조화
- 흡수냉동기
- 사이다란?
- 응축기
- 룸쿨러
- 열교환
- 이게사이다?
- 부산기장아울렛맛집
- 네이버유입
- 이명에좋은 음식
- Today
- Total
요술항아리의 나름대로 정보통~^^
냉동기속에는 여러가지 설비로 구성되어 있는데, 냉동사이클의 이해를 위해서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압축기는 냉동기를 구성하는 장치 가운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냉매가스는 압력이 낮은 증발기에서 압력이 높은 응축기를 향해서 이동하는데 압축기는 이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증발기의 압력과 응축기의 압력 사이에 온도 차이가 있을수록 압축기가 하는일은 크게됩니다. 압축기는 크게 2가지 타입이 있는데, 첫 번째는 튜브속에 공기를 넣을 때 사용하는 에어펌프와 같은 원리입니다. 흡입밸브와 토출밸브를 가진 실린더라고 불리는 통속에서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여 흡입밸브를 열고, 토출밸브를 닫아 기스를 흡입하고 반대로 토출밸브를 열고, 흡입밸브를..
우리가 살고 있는 방의 온도를 차갑거나 따뜻하게 할 때 어떤 것으로 열을 이동시켜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냉방을 할 경우에는 열을 방에서 제거 하는 것이고, 난방을 할 경우에는 열을 방에 더해주는 것이라 쉽게 이해하면 됩니다. 즉, 어떤 방식이든 결론적으로 방에서 열을 빼앗거나 더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내의 열을 이동 시키는데 어떤 것을 사용해서 이동 시켜야 하는지에 따라 냉동박식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룸쿨러의 경우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을 운반하고 있고, 또 어떤 방식에서는 물이나 공기에 의해 열을 이동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부를 공기로 열을 이동 시키는 방식을 완전공기방식 이라고 하며, 전부를 물로 열을 나를는 것을 완전물방식, 룸쿨러처럼 냉매로 열을 나르는 것을 냉매..
룸쿨러의 기본 장치에 대하여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룸쿨러 안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기입니다. 실내 공기에서 빼앗은 열에 의해 냉매는 증발 및 팽창을 하여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변하며, 온도도 올라가게 됩니다. 이 고온의 냉매가스는 압축기에 흡입되고,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되고, Condenser라고 불리는 코일로 보내어 집니다. 코일의 외부에는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서 이동되어 지고 코일내의 냉매가스는 가지고 있던 열을 공기에 흡수키기고 냉각되어서 기체에서 액체로 다시 변합니다. 액체로 변한 냉매는 다시 냉매코일로 이동합니다. Condenser는 응축기라고 하며, 압축이 된 냉매가스가 열을 빼앗겨서 냉각이 되면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인 응축이 일어나게 하는 장치입니다. 이처럼 냉동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