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은행잎쓰임
- 고유진동수
- 사이다술
- 열교환
- 적사부
- 애드센스광고삽입
- 은행잎활용
- 냉동기
- 합천중국집
- 이명에좋은 음식
- 해외여행쉽게가자
- 사이다란?
- 룸쿨러
- 합천4대문파
- 외국사이다
- 이게사이다?
- 부산기장아울렛맛집
- 만덕맛집
- 네이버검색누락
- 네이버유입
- Condensing Unit
- 응축기
- 동부산아울렛맛집
- 코일
- 흡수냉동기
- HVAC
- 열부하
- 공기조화
- 댄켈리사이다
- 송풍기
- Today
- Total
요술항아리의 나름대로 정보통~^^
뜨거운 동안에는 눈에 보이지 않고 손도 댈 수 없고 식게되면 작게 되어 뚝뚝 떨어지는 것을 상상해 본다면, 이것을 증기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증기는 압력과 온도가 높은 동안에는 공기와 같이 기체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열을 빼앗기면 압력이 줄어들고 체적도 아주 작게 되어 물방울이 됩니다. 실제 증기배관의 예에서 생각해 보면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는 기체로 되어 배관으로 들어가 증키 코일이나 열교환기 등에 열을 빼앗겨 액체(이것을 환수 또는 드레인이라 부릅니다.)로 되며 또다시 보일러로 되돌아 갑니다. 이첨럼 증기는 모습을 바꾸어 흐르므로 기체일 때와 액체일 때(정확히 말하면 증기는 기체이기 때문에 액체은 증기는 존재하지 않지만)로 나누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럼 이 불가사이한 증기의 정체에 대..
수축열방식에서는 물을 통상 7도씨 전후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액체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며, 물을 0도씨 까지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어 열을 축적하는 방식을 빙축열 방식이라 합니다. 당초 미국에서 개발되어진 이 방식은 1985년 경에 실용화가 진행되었고 보급 확대가 계획 되어졌습니다. 수축열 방식에는 물은 온도차, 즉 현열차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빙축열방식에서는 물의 온도차에 더하여 얼음이 녹을 때 80kcal/kg의 잠열을 흡수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수축열방식에 비하여 훨씬 작은 용적의 수조에 냉열을 축적하는 겅이 가능한 이점이 있습니다. 빙축열조의 수량에 대한 얼음량의 비율을 %로 나타낸 것을 빙충전율(IPF)이라고 합니다만, IPF가 50%라면 빙축열조는 수축열조의 거의 1/10, 10%라면 거의 1..
현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위치를 누르면 전등이 켜지고, 꼭지를 틀면 물이나 가스가 나오는 편리한 생활을 합니다. 이러한 전기, 물, 가스는 멀리 떨어진 발전소나 정수장, 가스제조공자에서 만들어져 전선이나 파이프에 의해 운반되어 오고 있으나 만약에 각각의 건물에서 독자적으로 발전기를 사용해서 전기를 일으키기도 하고 석탄이나 석유로 가스를 제조하거나 비를 정화해서 음료수를 만든다면 아마 상당히 번거로울 것입니다. 이와 같이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차가운 열이나 따뜻한 열도 각가의 건물에서 만들지 않고, 어딘가에서 집중적으로 만들어 각 장소에 공급 분배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도시의 외곽지에 그 도시 전체를 냉난방할 수 있느 용량을 가진 냉동기나 보일러를 설치해 거기서 만든 냉수나 온수를 배관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