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열부하
- 흡수냉동기
- 댄켈리사이다
- 공기조화
- 사이다란?
- HVAC
- 외국사이다
- 해외여행쉽게가자
- 네이버유입
- 열교환
- 적사부
- 룸쿨러
- 네이버검색누락
- 응축기
- 합천4대문파
- 부산기장아울렛맛집
- 사이다술
- 이게사이다?
- 고유진동수
- 만덕맛집
- Condensing Unit
- 이명에좋은 음식
- 은행잎활용
- 냉동기
- 합천중국집
- 코일
- 송풍기
- 동부산아울렛맛집
- 은행잎쓰임
- 애드센스광고삽입
- Today
- Total
요술항아리의 나름대로 정보통~^^
전기나 석유, 가스등의 에너지를 사용해 차가운 열이나 따뜻한 열을 만들기 위해서 냉동기나 보일러라 불리는 열원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기와 각 에너지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구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전기의 힘으로 왕복식 또는 원심냉동기를 운전해서 냉바을 하고, 겨울에는 석유나 도시가스를 연소시켜 난방을 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구성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이 언제나 가장 유리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건물의 규모나 용도 등에 따라 다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지도 충분히 검토해 봐야 합니다. 이 때문에 현재는 전기를 이용해서 난방을 하기도 하고, 석유나 도시가스를 이용해서 냉방을 하는 것도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전기히터를 사용해서 난방한 것은 ..
건물은 그 속에 보통 몇가지 종류의 공조장치를 배치하여 각가의 장치를 제어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공조장치를 모아서 공조계통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이 공조계통이 공조를 맡은 범위에 따라서 전체제어방식, 존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의 3가지로 구별되고 있습니다. 또 공조계통의 수는 이 3가지의 어느 것을 채용하는가에 따라서 정해지며, 계통수를 결정한다는 것은 건물전체에서 공조시스템의 골격을 만드는 것과 같기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면 3가지 제어방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전체제어방식이란 하나의 건물을 하나의 공조장치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여름은 냉풍을 만들고 겨울은 온풍을 만들어서 하나의 덕트계통으로 각 방에 일정 풍량으로 송풍하는 방법입니다. 전체방이 항상 똑같이 부하가 변화하는 경우와 혹은 부..
냉동기 중에는 좀 다른 종류의 것으로 흡수냉동기라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다르다는 것은 이 냉동기가 왕복냉동기나 원심냉동기와 달리 압축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압축기가 없는 냉동기라고 하면 왠지 엔진이 없는 자동차와 같은 느낌이 드나, 압축기가 없는 것은 한편으로는 대단한 장점이기도 합니다. 즉, 압축기를 위한 모터를 가지지 않으므로 그 운전은 조용하며, 소음 및 진동도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초고층 빌딩의 중간층이나 옥상 등에 냉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다른 냉동기 대신 흡수 냉공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하나의 차이점은 냉동기를 운전하는 에너지로 증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증기외에 고온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들 열은 최종적으로 에너지의 형태로 냉동기의 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