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흡수냉동기
- 송풍기
- 외국사이다
- 냉동기
- 해외여행쉽게가자
- 은행잎활용
- 이명에좋은 음식
- 열교환
- 적사부
- 은행잎쓰임
- 부산기장아울렛맛집
- 코일
- Condensing Unit
- 고유진동수
- 네이버검색누락
- 공기조화
- 열부하
- HVAC
- 사이다술
- 룸쿨러
- 이게사이다?
- 합천4대문파
- 합천중국집
- 동부산아울렛맛집
- 응축기
- 애드센스광고삽입
- 만덕맛집
- 네이버유입
- 댄켈리사이다
- 사이다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29)
요술항아리의 나름대로 정보통~^^
Damper 란 덕트 또는 공기조화기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움직이는 날개를 가진 기구를 말합니다.먼저 Damper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면, 크게 Automaitc Damper, Manual Damper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Automaitc Damper에는 Fire Damper, Modulating Damper, Automatic Shut-off Damper, Gas & Smoke Damper 등이 있으며, Manual Damper에는 Volume Control Damper, Manual Shut-off Damper, Pressure Relief Damper, Non Return(Back-Draft Damper)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Blade 회전방향에 ..
Valve는 설비나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감압, 차단시키는 것으로서 유체의 양, 유체의 성질, 설치장소 및 조업방식에 따라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야 하며 그 종류로는 볼밸브, 글로브밸브, 게이트밸브 및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안전밸브, 체크밸브, 니들밸브, 퓨즈콕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이 목적용(차단용) Valve로는 먼저 볼밸브(Ball Valve)가 있습니다. 볼밸브는 밸브의 실린더 내에 실린더와 거의 같은 구경의 내부가 관통된 Ball을 삽입하여 핸들의 조작에 따라 관로를 개폐시키는 구조이며, 유체의 흐름방향과 개로가 동일하고 밸브 내부의 Ball의 관통부의 구경이 관경과 거의 같아 압력손실이 거의 없습니다. 개폐가 90도 에서 이루어지므로 개폐가 신속하고 밸브의 상태로 개폐상태..
Ventilation 이란? 환기 혹은 통풍으로서 공기의 유동, 공기의 상태(Heating, Humidity) 및 기타의 요건 등을 적절히 이용하여 주어진 환경에서 자연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어느 장소의 공기를 다른 장소의 공기와 교환 시켜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풍방식에 의한 분류로는 자연통풍(Natural Ventilation) 과 기계통풍(Mechanical Ventilation) 방식이 있는데, 먼저 자연통풍방식은 자연의 풍향, 풍속(자연의 풍속 및 배의 전진속도에 의한 풍속) 및 선내/외 온도차에 의한 공기 밀도차(대류현상)을 이용한 통풍을 말하며, 장점으로는 Fan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합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충분한 압력을 얻을 수 없고 균일한 공기분배가 곤란하며..
응축기(Condenser)는 압축기(Compressor)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 가스를 상온의 물이나 공기 고열을 제거하여 액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선에 사용되는 Condenser로는 횡형 Shell & 튜브식(Horizontal Shell & Tube Type Condenser)이 사용됩니다. 장점으로는 전열 성능이 양호하고 소형, 경량으로도 가능하며 설치 면적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습니니다. 또한 수량이 많지 않아도 되는 장점도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과부하 처리가 어렵고 통수저항이 약간 큽니다. 또한 운전 중 냉각관 청소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습니다. Horizontal(횡형) Shell & Tube Condenser는 옆에서 놓여진 강판제 원통 동체(Shell) 내..
냉매는 증발기(Evaporator)에서 저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압축기(Compressor)를 거쳐 응축기(Condenser)에서 고 열원으로 열을 버린 후 수액기(Receiver),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거쳐 다시 증발기(Evaporator)로 되돌아가는 순환과정을 되풀이 한다. 압축기(Compressor)는 일반적으로 상선분야에서 사용하는 Compressor는 개방형(Open Type)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를 사용합니다. 증발기에서 오는 저온, 저압의 냉매증기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배증기로 만들어 응축기로 보내는 부분으로 증발기 쪽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동시에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것이 압축기의 역할입니다. 압..
오늘은 Air Handling Unit(공기조화장치) 장비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기 조화라 함은 목적하는 장소의 온도, 습도, 청결도, 기류분포 등을 사용목적에 알맞게 조정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공기조화장치(Air Handling Unit)에는 다음과 같은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공기 혼합 구획(Mixing Section)은 수동 혹은 자동 동작되는 Damper가 부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신선한 외기와 거주 구역으로부터의 재 순환 공기를 혼합하는 구획을 말합니다. Damper는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해 주는 장치로 토출용, 외기Damper, Return Damper등이 설치되어 집니다. 공기 청정 구획(Filter Section)은 공기혼합구획의 다음 구획으로서 필터..
이번 시간에는 공조방식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단일 덕트(Single Duct)식에 관해서 알아보면, 공기는 비열이 작으므로 대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며, Duct Space가 커야 합니다. 저속 덕트(Low Speed Duct)는 풍속 15m/s 이하, 전압 50~75mmAq 정도이며, Duct Space의 제한이 크지 않는 공간(다실 건축물, 영화관 등) 단일 대용적의 방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고속 덕트(High Speed Duct)는 풍속 15m/s 초과, 전압 150~200mmAq 정도이며, 주로 저속 덕트의 2배 이상의 풍속이라고 보면 됩니다. 덕트 스페이스는 축소되나 송풍장치 구동 전동기의 출력 증대에 따른 설비비가 많이 들며, 소음이 크므로소음상자를 취출구에..
이번에는 공기의 종류와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공기는 건조공기, 습공기, 포화공기, 불포화공기로 나누어 진는데 먼저 건조공기(Dry Air)란 수증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건조한 공기를 말하며, 조성은 N₂ : 78.1% O₂: 20.93% Ar:0.933% CO₂: 0.03%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습공기(Moist Air)는 건조공기중에서 수분을 함유한 것으로 수분은 기체적인 상태로 혼합되어 있습니다. 포화공기(Saturated Air)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량은 공기온도에 따라 한계가 있고 온도, 압력에 따라 변합니다. 최대한도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포화공기' 라 하며,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포화압력(Ps)도 상승하여 공기는 보다 많은 수증기를 함유할 수 있게..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공기 조화의 정의는 어떤 일정 장소에 공기 조건을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실내나 혹은 공장의 안락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쓰이는 분야이며, 초고층 빌딩이나 대형 마트, 선박, 해상/육상 플랜트 등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ASHRAE(American Society Heating &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Engineers)의 정의에서는 목적하는 장소의 온도, 습도, 청결도, 기류분포 등을 사용 목적에 알맞게 조정하는 과정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공기 조화의 4대 요소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