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냉동기
- 열부하
- 애드센스광고삽입
- 댄켈리사이다
- 만덕맛집
- 송풍기
- 이게사이다?
- HVAC
- 합천4대문파
- 사이다란?
- 합천중국집
- 흡수냉동기
- 네이버검색누락
- 코일
- 응축기
- 해외여행쉽게가자
- 동부산아울렛맛집
- 부산기장아울렛맛집
- 고유진동수
- 공기조화
- 네이버유입
- 이명에좋은 음식
- Condensing Unit
- 외국사이다
- 적사부
- 룸쿨러
- 은행잎활용
- 은행잎쓰임
- 열교환
- 사이다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29)
요술항아리의 나름대로 정보통~^^
열은 여러 가지 것 중에 들어가서 같은 장소에 오랜 시간 머물거나 혹은 곧 나와 버리거나 합니다. 공기조화설비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물이나 공기에 열을 주거나 빼앗거나 합니다. 넓은 의미의 열교환기는 물, 공기, 냉매, 증기 등의 열 매체를 서로 섞은 일없이 이 열교환기를 매개하여 한쪽 매체에서 한쪽 매체로 열을 전하는 것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와 같이 해석하면 냉각코일, 가열코일, 냉동기의 냉각기, 응축기 등도 훌륭한 열교환기입니다. 그리고 아주 넓은 의미로는 예를 들면 물과 공기를 서로 섞어서 물의 증발 잠열을 빼앗는 것에 의해 냉각을 하는 냉각탑이나 냉각감습을 한는 에어워셔, 공기세정기 등도 일종의 열교환기입니다. 단 따뜻한 물을 식히기 위해 찬물을 혼합시키거나 찬 공기를 데우기 위해..
냉각탑은 냉동기의 발열로 데워진 냉각수를 차게 하여 재차 순환사용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냉각탑에서는 냉장된 송풍기로 밖으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냉각수와 접촉시킵니다만, 이 접촉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 냉각탑에 충진재를 채워 공기와 물이 조금이라도 긴 시간을 접촉하고 있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충진재의 사이를 물방울이나 수막형태로 물이 흘러 떨어지는 사이에 밑 또는 옆에서 들어오는 외기와 접촉합니다. 냉각수는 그 일부가 증발할 시에 나머지 냉각수로부터 잠열을 빼앗아 그 온도를 내리도록 작용합니다. 냉각수는 스스로를 희생하여 자신의 온도를 내리는 것에 전념하고 있는 것입니다. 냉각탑은 소형 3냉동톤에서 대형은 500냉동톤 정도까지 표준품입니다. 이 냉각탑의 호칭톤수 즉 A냉동톤형이라 하..
물을 낮은 곳에서부터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거나 밀폐된 관이나 기기 중의 물을 빙글빙글 돌리는 데에 펌프가 쓰입니다. 펌프와 원심송풍기와는 소위 친척과 같은 것이지만 송풍기는 공기를 운반하는 데에 쓰이고 펌프는 물을 운반하는 점이 틀립니다. 개방회로배관으로 물을 끌어 올리는 경우에는 높이와 배관의 마찰손실의 합계가 펌프가 물을 보내는 데에 필요한 힘 즉 양정(헤드라고 하며 송풍기의 정압에 해당한다)이며 밀페회로배고나에서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배관 마찰손실과 도중에 있는 코일 등의 기기 마찰손실의 합계가 양정으로 됩니다. 개방회로배관에서 펌프 양정 중에 포함되어 있는 밀폐회로배관에서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은 수압이 펌프의 토출측과 흡입측으로부터 펌프에 작용하여 서로 상쇄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즉 펌프를..
공조설비에 쓰이는 필터는 말 그대로 더러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읜 공기에 섞여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쓰여기고 있지만 그 중에는 공장과 같은 곳에서 배출되는 분진이나 냄새,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도 있습니다. 필터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날아드는 먼지들이 유리섬유와 같은 곳에 여러 차례 부딪치면 이제까지 자지고 있던 에너지를 전부 소비해 버리고 떨어져버리는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가능한 먼지가 부딪치는 회수를 많게 하도록 여과재를 면상태로 한 구조로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여과재에 기름을 발라두면 일단 붙잡힌 먼지가 다시 날라서 흩어지는 염려도 적게 되는 것입니다. 유니트형 에어필터는 가장 간단한 것으로 유리섬유를 포형상으로 한 것이나 합성수지를 포상으로 한 부직포라..
공조설비에서 냉각기라고 하면 물 또는 냉매로 공기를 차게 하는 것과 냉매로 물을 차게 하는 것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자의 공기를 차게 하는 기기, 즉 일반적으로 냉각코일이라던가 쿨링코일이라 불리고 있는 것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코일은 관 외측에 핀을 연속적으로 감아 붙인 튜브를 몇 개 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튜브이 재료에는 동관이 많이 사용되며 그 속으로 온도가 낮은 물 또는 냉매를 통하게 합니다. 핀 재료에는 알루미늄이나 동이 많이 이용됩니다. 핀의 피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서 튜브길이 25mm 사이에 몇 매의 핀이 붙어 있는가에 따라서 8핀, 10핀, 14핀 등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이 수가 늘어날수록 핀 간격은 좁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냉수용 코일은 한 개의 헤드에서 각 튜..
송풍기는 바람을 일으키는 기기이며 대부분이 모터를 사용해 축에 붙어 있는 날개를 회전함으로서 공기를 앞으로 밀어주어 연속적으로 바람을 내보내고 있습니다. 이 날개의 크기, 방향, 개수, 회전속도 등에 따라서 취출공기의 양이나 풍압 등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송풍기를 크게 나누면 축류식과 원심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축류식은 송풍기의 축과 같은 방향에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밀어냅니다. 한편 원심식의 경우에는 축류식과 같이 축과 같은 방향에서 흡입하지만, 토출측은 축과 직각인 원심방향으로 만들어내는 차이가 있습니다. 송풍기는 일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공기를 보내고 싶은 경우에 사용되고 보내고 싶은 공기량이 얼마이고 그 공기량을 보내기 위해 송풍기에 필요한..
흡입구로서는 날개격자형, 다공판형, 도어그릴, 머쉬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흡입구는 그 방의 용도, 형태, 기능 등에 따라서 천장, 벽, 도어에 설치됩니다. 흡입구의 허용 풍속은 벽, 천정에서 2~4m/s, 도어그릴 및 언더컷에서 1~1.5m/s 입니다만 흡입구에서 실내측으로 멀어지면 풍속은 느려지게 되므로 취출구처럼 풍속 그 자체가 실내의 기류분포에 영향을 미칠 염려는 없습니다. 단 풍속이 어느 정도 허용한도를 넘으면 흡입구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수가 있으므로 통과 풍속은 그다지 빠르게 하지 않는 것이 현명합니다. 그러면 흡입구를 배치하는 경우의 기본적 사고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의실, 응접실, 휴게실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여서 담배연기 등이 고이기 쉬운 방에는 유효한..
취출구에서 실내로 필요량의 공기를 적절한 속도로 보내어 주면 취출한 1차공기와 실태의 2차공기가 적당하게 섞여서 재실자에 드래프트나 무더움을 느끼지 않는 쾌적한 상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복사류취출구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형태가 원형이든 각이진 형태이든 간에 취출구에서 취출된 1차공기는 실내로 들어오면 실내의 공기를 유인하면서 하나의 원통상태로 되어 실내로 들어와 취출구에서 멀어져 갈수록 기류의 통은 점차 그 굵기가 늘어나고 실내공기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속도는 점차 떨어져 버립니다. 이때 실내의 공기온도 보다도 높은 온도의 공기가 실내로 향해 취출되면 1차공기에 실내공기가 끌려들어옴에 따라서 기류온도는 점차 실온에 가깝게 되어갑니다. 그리고 원통상의 기류속도가 0.25m/s로 저하될 때 까지의 취출구..
환기 및 배기에 이용되는 흡입구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흡입구는 환기용의 덕트나 샤프트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와 하나의 방에서 복도나 다른 방으로 공기를 이동 시키기 위해 도어나 칸막이를 설치해야 되는 경우의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날개격자형, 다공판형 등의 취출구와 동일한 형식의 것이 사용되지만 흡입구는 방의 공기를 소요량 만큼 통과하게 할 수 있는 기능만 가지면 되므로 취출구의 경우처럼 취출기류를 균일하게 만들거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가동날개는 필요가 없습니다. 다공판형과 날개격자형 흡입구는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흡입구 형식이며 덕트나 벽에 설치 할 수 있습니다. 날개격자형의 경우 VS(수직고정날개, 셔터부착) 또는 HS(수평고정날개, 셔터부착) 타입이 보통 이용됩니다...
취출구는 공조 시스템 중에 최후의 일을 담당하고 있지만 기류 취출방향, 형태 등에 의해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우선 기류 취출 방향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취출구면에 수직 방향으로 취출하는 것과 취출구면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취출하는 것이 있으며 전자의 기류가 하나의 통나무 축과 같은 형태로 취출되는 점으로부터 이것을 축류취출구라 부르고 한편 후자의 기류는 태양에서 사방으로 나오는 복사열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이것을 복사류취출구라 부릅니다. 복사류취출구에는 노즐이나 유니버셜형 취출구 등이 있으며 벽이나 낮은 천장의 측면에 설치하여 일반적으로 수평취출기류를 만드는 데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복사류취출구의 대표적인 장치는 아네모스탯형 취출구로 주로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천장면을..